기초치아형태학
치아형태학은 치과보철물 제작의 가장 기본이 되는 과목으로서 치아의 구성조직 및 주위조직, 유치와 영구치의 종류 및 형태를 알기 위한 기초이론과 상악 좌, 우측 중절치, 상악 좌, 우측 측절치, 상악 좌, 우측 견치, 상악 좌, 우측 제1소구치, 상악 좌, 우측 제2소구치, 상악 좌, 우측 제1대구치, 상악 좌, 우측 제2대구치, 상악 제 3대구치 및 하악 좌, 우측 중절치, 하악 좌, 우측 측절치, 하악 좌, 우측 견치, 하악 좌, 우측 제1소구치, 하악 좌, 우측 제2소구치, 하악 좌, 우측 제1대구치, 하악 좌, 우측 제 2대구치, 하악 제3대구치의 각 특징을 배우고, 상악과 하악 치아를 서로 비교하며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치아형태를 도해하고, 조각을 할 수 있도록 함을 교육목표로 한다.
기초치아형태실습
치아형태학 이론시간에 배운 영구치 상악 우측 중절치, 상악 우측 견치, 상악 우측 제 1 소구치, 하악 우측 제 1 소구치, 상악 우측 제 1 대구치, 하악 우측 제 1 대구치의 특징을 바탕으로 치아의 순면(협면), 설면, 원심면, 근심면, 절단면(교합면)을 그려 숙지한 후 plaster block과 wax block을 이용하여 각 치아 형태를 4단계 조각방법으로 형성하는 기술을 터득하고자 한다.
치과재료학
치과재료의 성질과 사용법을 다루는 학문으로서, 치과재료의 물리적, 기계적, 화학적, 생물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올바르게 사용하여 모든 종류의 치과보철물을 정확하고 정밀하게 제작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치과재료실습
실험을 통하여 치과재료의 성질을 이해하고 어떻게 치과기공에 응용할지 관계를 습득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치과기공과정에서의 관련성을 생각하게 하며 현실적인 응용법을 구체적으로 다루며 석고제품, 인상재, 치과용왁스, 매몰재, 각종 치과용 재료들을 실습을 통하여 습득하게 되는데 알지네이트 작업시간 및 경화시간, 인상용 컴파운드의 물리적 성질 뿐만 아니라 열팽창 시험, 열전도성 시험, 석고의 입자분석, 경화시간 , 경화시간조절(촉진제, 지연제), 첨가제의 영향 석고의 경화팽창 수화팽창 시험, 왁스의 열팽창계수 시험 등을 실험을 통하여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습득 할 수 있도록 하는 교과목이다.
국부의치기공학및실습
국소의치 디자인과 인공치 배열, 의치상 제작 등 Partial Denture제작 전반에 관한 사항을 실습을 통해 이해도를 증진시킴과 동시에 기술을 연마하여 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국소의치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도록 하여 상, 하악에 적용되는 다양한 주연결장치를 설계하고 적응증에 적합한 부연결 장치와 직접유지장치와 간접유지장치를 주연결장치와 견고하게 연결하여 제작, 공급할 수 있도록 실습을 현장중심으로 진행하여 현장에서 요구하는 전문직 인을 양성하는데 있다.
총의치기공학
치과 보철학의 개요에서부터 보철학의 역사와 총의치의 종류 등에 대해 공부하여 환자의 구강 상태에 맞는 총의치를 제작할 수 있다. 구강 내 각 부위의 해부학적인 명칭을 완전히 숙지하고, 총의치 전 제작과정 등에 대해서 공부하도록 한다. 총의치 제작과 관련된 이론의 완전한 이해는 환자에게 총의치라는 보철물이 편안감과 충분한 기능 발휘를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총의치기공실습
무치악 환자의 구강을 인공대치물인 납의치를 토대로 수지의치로 제작하여 기능성과 심미성을 회복시켜 주는 과목이다. 초고령화 사회에서 2012년 7월 1일부터 시행되어온 만 75세 이상 노인의 레진상 완전 틀니 급여화가 2016년 6월 65세 노인 이상의 확대되어 총의치 보철물의 수요는 계속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내다볼 수 있다. 따라서 만족도 높은 총의치를 노인들에게 제공하기 위해서 총의치기공학의 이론적인 배경을 토대로 단계별 기공과정을 실습으로 익힐 수 있도록 한다.
Auto CAD의 이해
오토캐드(AutoCAD)는 미국의 Autodesk 회사에서 만든 설계 전문 프로그램으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캐드 설계 기능과 능력을 갖춘 프로그램입니다. 전문적인 설계 프로그램이란 인식으로 캐드의 기능을 하나씩 배우면서 꼭 알아두어야 할 화면 구성부터 환경 설정, 마우스 사용법, 단축키 등 기본적이지만 반드시 익혀두어야 할 기본 기능에 대해 학습하고자 합니다.
교합학및실습
교합과 교합면실습의 학습을 통하여 모든 치과 보철물 제작 시 적용 되는 교합의 실습을 이해시켜 환자의 구강에 적합한 이상적인 치과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임상적 기술 능력을 향상 시키고 하악골 운동이 교합면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각도로 이해시켜 모든 보철물 제작 시 적용하도록 한다.
치과도재기공학
치과 도재학의 학습을 통해 치과 도재의 재료학적, 기술적 제반 성질과 특성, 심미 관련성, 도재를 소성 하는 중요기구인 도재로의 구조와 원리, 그리고 금속․도재관의 관련 이론을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금속․도재 수복물의 올바른 제작 능력을 길러 전, 구치부 도재 금속도재관에 있어서 금속구조물의 제작과 관련된 지대치의 형태, 금속 구조물의 설계와 납형 제작 및, 도재의 축성과 소성, 형태수정, 착색 및 광택내기 그리고 최종연마에 이르기까지의 단계별 기공 과정을 이해하고 관련기술을 익힌다.
치과도재기공기초실습
다양한 치과 보철 수복물 가운데 금속 도재관을 이용하면 치아의 상실 시 치아의 기능인 저작, 발음 뿐 아니라 심미성 있게 자연치아와 같은 색상으로 회복시켜줄 수 있다. 이에 금속도재관(P.F.M porcelain fused to metal crown)의 제작 방법을 납형의 단계, 주조체(금속관)의 단계, 도재 축성 및 소성되어 형태를 수정하는 단계로 나누어 학습함으로서 완성도 높은 도재관 제작방법을 숙련시킨다.
관교의치기공학및실습
기초관교의치기공실습에서 습득한 단관 즉 full crown wax up 테크닉을 기초로 하여 임상모형 단관(single crown)을 제작함으로서 실제 임상에 적용되도록 하며, 나아가 상, 하악 3unit bridge(교의치) wax up을 완전하게 할 수 있도록 반복 연습을 한 후 주조하여 완성하도록 하고 특히 여러 종류의 가공치 제작과 연결부위를 견고하게 형성하도록 한다.
치과교정기공학및실습
치아 이동의 생리적 고찰과 가철식 교정 장치의 물리적인 교정력, 설계와 제작에 관한 기초지식의 이해를 도모하여 이 장치의 제작에 이용되는 각종 재료의 취급방법과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하며 이론과 실습의 접목을 통해 개개 치아의 위치개선, 치열궁의 상하관계 개선, 부정교합에 따른 각종 장애 제거 등 교정 장치의 이해와 적용방법을 수확하고 부정교합을 정상교합에 가까운 상태로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치과 CAD/CAM학
4차 산업혁명시대를 대비하기 위하여 Digital을 활용한 치과산업과 치과기공사를 양성하기 위하여 Digital의 이해와 Digital 활용을 위한 실습은 identica blue Scanner와 EXO-CA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보철물을 제작한다. Bridge 상.하악 모형을 제작하여 Scan한다. EXO-CAD를 활용하여 Bridge와 전치부 design을 해보고, 다양한 임상 케이스를 설계하여 실무 중심의 실습을 진행한다.
첨단 신소재 CAD/CAM 실습
4차 산업혁명시대를 대비하기 위하여 Digital을 활용한 치과산업과 치과기공사를 양성하기 위하여 Digital의 이해와 Digital 활용을 위한 실습은 identica blue Scanner와 EXO-CA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보철물을 제작한다. Bridge 상.하악 모형을 제작하여 Scan한다. EXO-CAD를 활용하여 Bridge와 전치부 design을 해보고, 다양한 임상 케이스를 설계하여 실무 중심의 실습을 진행한다.
임플란트치과기공실습
치과 임플란트의 기본적인 이해와 치과기공을 포함한 치과 보철적 개념에 대해 공부하고 이해하여 다양한 치과 임플란트보철물 제작방법을 습득하도록 한다.
충전기공학
치과 기공사가 숙지하고 이해해야 하는 분야는 너무나 광범위하다. 치아의 형태가 이루어진 과정 및 구강 내에서 다른 치아와 어우러져 기능적, 심미적 역할을 이해해야 제작 시에도 쉽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자연치아 와동의 분류 및 명칭과 형태를 이해하고 분류하여 임상 제작 시 관교의치 학문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따라서 치과 충전 수복물 제작을 위한 기본적인 이론을 이해하고 기술적인 충전 기공물 제작과정을 숙지하여 적합성과 기능성이 우수한 치과충전물을 제작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시킨다.
치아형태학
상악 좌, 우측 중절치, 상악 좌, 우측 측절치, 상악 좌, 우측 견치, 상악 좌, 우측 제1소구치, 상악 좌, 우측 제2소구치, 상악 좌, 우측 제1대구치, 상악 좌, 우측 제2대구치, 상악 제3대구치 및 하악 좌, 우측 중절치, 하악 좌, 우측 측절치, 하악 좌, 우측 견치, 하악 좌, 우측 제1소구치, 하악 좌, 우측 제2소구치, 하악 좌, 우측 제1대구치, 하악 좌, 우측 제2대구치, 하악 제3대구치의 각 특징을 배우고, 상악과 하악 치아를 서로 비교하며 이해한다. 또한 유치의 맹출 시기와 명칭 형태적 특징을 영구치와 비교한다.
치아형태실습
치아형태학 이론시간에 배운 영구치 상악 좌, 우측 중절치, 상악 좌, 우측 측절치, 상악 좌, 우측 견치, 상악 좌, 우측 제1 소구치, 상악 좌, 우측 제2 소구치, 상악 좌, 우측 제1 대구치, 상악 좌, 우측 제2대구치 및 하악 좌, 우측 중절치, 하악 좌, 우측 측절치, 하악 좌, 우측 견치, 하악 좌, 우측 제1 소구치, 하악 좌, 우측 제2 소구치, 하악 좌, 우측 제1 대구치, 하악 좌, 우측 제2 대구치의 특징을 바탕으로 치아의 순면(협면), 설면, 원심면, 근심면, 절단면(교합면)을 그려보고 숙지한 후, 2배 크기의 석고 블럭을 이용하여 각 치아 형태의 특징을 부여하여 완성한 후, 상, 하악 치열에 맞춰 배열한다. 또한 1배 크기의 wax block으로 치근까지 조각하여 전체 치아의 형태를 완성하고 배열한다.
구강해부학
구강해부학은 강의를 통하여 구강과 그 주위에 있는 뼈, 근육, 악관절, 혈관, 신경 각각의 형태를 이해하게 하여 정확한 치과보철물의 제작에 필수적이며 기본적인 구강구조물의 이해능력을 갖추게 함으로써 치기공과 졸업 후 유능한 치과 기공사가 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전문인으로서 올바른 소양을 갖추어 미래의 보건의료 분야를 이끌고 갈 역량 있는 인재를 양성한다.
디지로그 국부의치기공실습
구강내의 부분적으로 결손된 부위를 인공적인 대용물로 회복시켜 주기 위하여 미리 금속구조물을 설계하여 제작한 모형에서 유리단부위의 기능인상을 위한 개인 tray를 제작하고 작업 모형을 완성하여 의치상과 wax상을 제작하고 mounting 후 인공치 배열 및 치은형성을 실행한 다음 매몰과 wax제가 및 Resin 전입을 한다. 장시간 온성을 시행 후 연마와 세척을 통하여 국부의치 제작을 완성한다. 국부의치 수리과정을 실습하여 사용 중에 부분적으로 발생한 의치부위를 수리 할 수 있도록 한다. 국부의치 제작을 위한 지대치 crown을 R.P.I clasp 와 Aker's clasp을 적용 할 수 있도록 wax-up 및 CAD/CAM을 이용하여 스캔 후 디자인을 실습한다.
총의치기공학
고령화 사회에서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시점에 총의치는 무치악 환자의 구강기능 회복에 가장 보편화된 보철물이다. 더욱이 2012년부터 만75세이상 노인의 레진상 완전틀니 급여화는 총의치의 수요를 더욱 증가시키고 있다. 노인들에게 만족도 높은 양질의 의치상을 제공하기 위해 총의치 제작과 관련된 이론을 완전히 이해하고 습득한 이론을 바탕으로 임상경험을 쌓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총의치기공실습
총의치기공학실습과목은 무치악 환자의 구강을 인공대치물인 납의치를 토대로 수지의치로 제작하여 기능성과 심미성을 회복시켜 주는 과목이다. 따라서 만족도 높은 총의치를 노인들에게 제공하기 위해서 총의치기공학의 이론적인 배경을 토대로 단계별 기공과정을 실습으로 익힐 수 있도록 한다.
임플란트치과기공실습
치과 임플란트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의 이해를 도모하고 치과 임플란트 보철물에 대한 제작방법 등의 폭 넓은 지식을 공부함으로써 임상의 다양한 케이스에 적용할 수 있는 이상적인 치과 임플란트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기초관교의치기공학및실습
관교의치(crown&bridge) 제작과정에 관한 각 단계별 이론적 내용에 따라서 작업모형 제작-교합기에 작업모형 부착-납형제작-주입선 설치, 매몰-소환-주조-연마-완성하기 까지를 실습하며 특히 납형 제작과정에서는 28개 치아를 대표할 수 있는 상악 중절치와 상, 하악 견치, 상악 제1소구치, 하악 제2소구치, 상, 하악 제1대구치 full crown wax up을 반복 연습하여 crown&bridge 납형 제작의 기본실력을 쌓는 과목이다.
기초관교의치기공학
기초관교의치기공학은 치과보철기공물 제작의 기본이 되는 매우 중요한 학문으로서 crown & bridge(단관과 교의치) 보철기공물을 제작하기 위하여 알아야 할 이론적 지식을 학습하는 교과목이다. 학습할 이론적 내용은 치과보철 및 관교의치제작 개요, 인상재와 인상용 트레이, 임시관교의치 보철의 기능과 제작 방법, 치형과 작업모형, 교합, 교합기와 모형부착, 치아의 생리적인 형태와 납형제작, 주입선의 역할과 부착방법이다.
3D modeling의 이해와 활용
구강해부학은 강의를 통하여 구강과 그 주위에 있는 뼈, 근육, 악관절, 혈관, 신경 각각의 형태를 이해하게 하여 정확한 치과보철물의 제작에 필수적이며 기본적인 구강구조물의 이해능력을 갖추게 함으로써 치기공과 졸업 후 유능한 치과 기공사가 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전문인으로서 올바른 소양을 갖추어 미래의 보건의료 분야를 이끌고 갈 역량 있는 인재를 양성한다.
금속도재관교의치기공학
치과 도재학의 학습을 통해 치과 도재의 재료학적, 기술적 제반 성질과 특성, 심미관련성, 도재를 소성 하는 중요기구인 도재로의 구조와 원리, 그리고 금속․도재관의 관련 이론을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금속․도재 수복물의 올바른 제작 능력을 기르고 치과 도재의 역사와 조성, 제조방법 및 분말의 종류, 그리고 치과 기공실에서 도재의 축성과 응축, 소성법 등의 기본사항들을 이해한다.
금속도재관 교의치기공실습
치과 도재학의 학습을 통해 치과 도재의 재료학적, 기술적 제반 성질과 특성, 심미 관련성, 도재를 소성 하는 중요기구인 도재로의 구조와 원리, 그리고 금속․도재관의 관련 이론을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금속․도재 수복물의 올바른 제작 능력을 기르고, 또한 도재의 기초적 원리를 바탕으로 실무의 접목을 통한 실습을 익힘으로 졸업 후 현장적응력을 익혀 전문적인 임상가로서 작업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치과 CAD/CAM 실습
4차 산업혁명시대를 대비하기 위하여 Digital을 활용한 치과산업과 치과기공사를 양성하기 위하여 Digital의 이해와 Digital 활용을 위한 실습은 identica blue Scanner와 EXO-CA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보철물을 제작한다. Bridge 상.하악 모형을 제작하여 Scan한다. EXO-CAD를 활용하여 Bridge와 전치부 design을 해보고, 다양한 임상 케이스를 설계하여 실무 중심의 실습을 진행한다.
임상치과교정기공학 및 실습
치아이동의 생리적 고찰과 가철식 교정 장치의 물리적인 교정력, 설계와 제작에 관한 기초지식의 이해를 도모하여 이 장치의 제작에 이용되는 각종 재료의 취급방법과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하며 이론과 실습의 접목을 통해 개개 치아의 위치개선, 치열궁의 상하관계 개선, 부정교합에 따른 각종 장애 제거 등 교정 장치의 이해와 적용방법을 수확하고 부정교합을 정상교합에 가까운 상태로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디지로그 응용관교의치기공학 및 실습
기초관교의치기공학실습과 관교의치기공학실습에서 습득한 테크닉을 기초로 하여 실제 환자의 여러case 모형, 즉 단관(single crown)과 교의치(bridge)를 제작함으로서 현장임상실습과 졸업 후 실전에서 직무수행 역량을 갖추는 교과목이다. 실습하게 될 주내용은 임상모형 단관(single crown)과 교의치(bridge)모형제작 후 납형제작 단계 ~ 완성단계까지와 temporary crown제작 연습을 하게 된다.